사자성어란?
한자성어 혹은 고사성어는 비유적인 내용을 담은 함축된 글자로 상황, 감정, 사람의 심리 등을 묘사한 관용구이다. 간단히 성어라고도 한다. 주로 4글자로 된 것이 많기 때문에 사자성어라 일컫기도 한다. 일상생활이나 글에 많이 사용된다.
(북부지회 위키백과)
한자성어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한자성어(漢字成語) 혹은 고사성어(故事成語)는 비유적인 내용을 담은 함축된 글자로 상황, 감정, 사람의 심리 등을 묘사한 관용구이다. 간단히 성어(成語)라고도 한다. 주로 4글자로 된 것이 많
ko.wikipedia.org
한자 사자성어를 찾다보면 외의로 자연과 관계된 사자성어들이 많다.
조상들이나 문인들이 자연과 더불어 시를 짓기도하고 살다보니 그렇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한다.
그래서 자연과 관련된 사자성어들을 정리해보기로 했다.
각로청수 (刻露淸秀) : 가을의 맑고 아름다운 경치를 말함
산천의구 (山川依舊) : 자연은 옛 모양대로 변함이 없음

교교월색 (皎皎月色) : 휘영청 밝은 달빛

만리장천 (萬里長天) : 아득히 높고 먼 하늘

만학천봉 (萬壑千峰) : 많은 골짜기와 산봉우리

세한삼우 (歲寒三友) : 추운 겨울에 잘 견디는 소나무
대나무·매화나무를 일컫는 말

수락석출 (水落石出) : 물이 줄고 암석이 드러난 겨울날의 강의 경치

공산명월 (空山明月) : 사람 없는 빈 산에 외로이 비치는 밝은 달
지금까지 자연과 관계된 고사성어를 살펴보았다. 고사성어는 뜻을 풀이하다보면
원뜻에 내포되어 있는 또다른 의미를 발견해나가는 재미가 있다.
'잡다한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연과 관계된 순 우리말, 예쁜 우리말 (2) (0) | 2021.12.13 |
---|---|
순 우리말 속의 의성어, 의태어는? (0) | 2021.12.10 |
여러분의 인생 명언은? 힘이 되는 짧은 명언 모음 (0) | 2021.12.08 |
자연과 관계된 순 우리말, 예쁜 우리말 (0) | 2021.12.07 |
벚꽃의 꽃말에 대하여 (0) | 2021.07.17 |